여의도 자율주행 순환버스 무료 승차 방법

 

 

 

 

 

 

서울시는 국회 방문객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2023년 7월 5일 정오부터 여의도 국회 주변에서 자율주행 순환버스 정기 운행을 시작합니다. 이 버스는 13인승 소형버스로, 여의도 둔치주차장에서부터 국회 경내 3.1km를 순환 운행합니다. 이용자는 누구나 무료로 총 6개 정류소(여의도 둔치주차장, 의원회관, 국회정문 1문, 도서관, 국회본관 면회실, 소통관)에서 자유롭게 자율주행 순환버스에 승차와 하차를 할 수 있습니다. 버스  2대가 평일 10시부터 16시까지 운행합니다.

자율주행 순환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울 자율주행 전용 스마트폰 앱(TAP!)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 앱을 통해 타는 곳(출발 정류소)과 내리는 곳(하차 정류소)을 선택하고 차량을 호출하면 무료로 탑승할 수 있습니다. 앱을 통해 실시간 버스 위치와 도착 예정시간, 기타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여의도 자율주행 순환버스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국회 주변의 여의서로 등에 신호등 색상과 다음 신호까지 남아 있는 시간(0.1초 단위)을 5G 상용 통신으로 제공하는 새로운 교통 신호 장치 인프라를 마련했습니다. 이 인프라에 따라 운행되는 이번 자율주행 순환버스의 효율성이 높으면, 서울시는 앞으로 여의도 전역으로 운행 지역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여의도 일대 지하철역과 국회, 여의도 환승센터, 오피스 밀집 지역 등 주요 지역들이 연결될 전망입니다.

여의도 자율주행 순환버스를 무료로 승하차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안내합니다.

1. 순환버스 운행 주관 : 서울특별시가 버스의 운행을 주관합니다.

2. 운행대수 : 총 2대가 30분 간격으로 순환 운행합니다.

3. 운행요금 : 무료입니다.

4. 운행차량 : 현대자동차 쏠라티 차량을 개조한 13인승 소형버스입니다.

5. 운행요일과 시간 :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10시부터 16시까지 운행합니다. 휴식시간 없이 운행하고, 평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운행하지 않습니다.

6. 운행구간 : 여의도 둔치주차장, 의원회관, 국회정문 1문, 도서관, 국회본관, 소통관, 여의도 둔치주차장 순으로 총 3.1km를 반 시계 방향으로 순환합니다.

7. 승하차 정류소 : 여의도 둔치주차장, 의원회관, 국회정문 1문, 도서관, 국회본관 면회실, 소통관에서 승차와 하차를 하실 수 있습니다.

8. 순환버스 탑승하는 방법 : 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서, 서울 자율차 전용 앱(TAP!)을 다운로드한 후 회원가입을 하고, 승차 장소와 하차 장소를 선택한 후, 차량을 호출하면 됩니다. 구글플레이로 들어가면, TAP! -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시작이라는 화면이 나오고 이 화면에서 설치를 하면 됩니다. 앱스토어는 아이폰을 사용해야 합니다.

9. 문의 : 다산콜재단(02-120)으로 문의하면 상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 여의도 자율주행 순환버스는 상암, 청계천 방면에서 이미 사용하는 방식의 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암, 청계천 방면의 순환버스를 이미 이용하셨던 분은 큰 어려움 없이 여의도 자율주행 순환버스를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서울시는 2023년 10월에는 세계 최초로 심야 자율주행 버스를 마련할 예정입니다. 대학과 대형 쇼핑몰 등이 밀집해 있어 야간에 이동 인구가 많은 합정역에서 흥인지문까지 중앙버스 전용차로가 마련될 것입니다. 심야 자율주행 버스는 9.7km를 24시부터 다음 날 새벽 5시까지 운행합니다.

또한 서울시는 2024년에는 청량리역까지 운행 구간을 연장하여 도심과 부도심을 연결하는 간선 버스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간선 기능을 하는 대형 전기 자율주행 버스가 2024년에는 본격적으로 운행될 것입니다. 

+ Recent posts